본문 바로가기

이전강좌/카카오톡 봇

카카오톡 봇 강좌(3) - if문과 if문을 사용한 코딩

안녕하세요 :)

이번 강좌에서는 if문과 if문에서 필요한 연산자, 그리고 간단한 코딩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일단 if문 이라는 것에 대해 한번 알아보기 위해 인터넷 창에 한번 검색해보시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요


컴퓨터 과학에서 조건문(條件文)이란 프로그래머명시한 불린 자료형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계산이나 상황을 수행하는 프로그래밍 언어특징이다


이렇듯 if문은 말 그대로 받아들인 조건의 참, 거짓을 판별합니다.

if문의 기본적인 형식은

if(조건){

내용

}

인데요

if문 뒤에 붙어있는 {} 이 기호는 if문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해당 기호를 넣지 않은 if 문은 딱 한 줄만 실행시키고 끝나버립니다.

저희는 앞으로 { 이 기호를 "열었다", } 이 기호를 "닫았다"라고 표현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참, 거짓을 판별하는 조건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같다 라는 것을 표현할 때 =(등호) ☜이렇게 생긴 기호를 사용하는데요

프로그래밍을 하실 때에는 등호를 사용하시면 오른쪽 값을 왼쪽에 넣게 되어버립니다.

ex 1) a=1; // a에 1이 들어갑니다.

ex 2) a=b; //a에 b값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등호를 두번 또는 세번정도 사용하여 같다 라는 식을 만들었습니다.


1. 같은 값 판별

1-1. a==b

a와 b가 같으면 true라고 판단합니다.

1-2. a===b

a와 b가 지정된 형식까지 모두 같으면 true라고 판단합니다.


판별 값 작성은 생략하겠습니다.


2. 다른 값 판별

2-1. a!=b

a와 b가 같지 않다.

2-2. a!==b)

a와 b가 형식이 같지 않다.


여기서 쓰인 ! 이라는 기호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논리연산자 중 한가지입니다.


3. 크기 판별

3-1. a>b

a가 b보다 크다.

3-2. a<b

a가 b보다 작다.

3-3. a>=b

a가 b보다 크거나 같다.

3-4. a<=b

a가 b보다 작거나 같다.


이상이 기본적인 연산자입니다.

아래는 여러가지 조건을 판별하는 논리연산자입니다.


4.논리연산자


4-1. if(조건1 && 조건2)

And연산자입니다.

조건1과 조건2가 true인지 확인합니다.

둘다 true여야지만 실행합니다.


4-2. if(조건1||조건2)

Or연산자입니다.

조건1 또는 조건2가 true인지 확인합니다

둘중 하나라도 true이면 실행합니다


4-3. if(!조건1)

NOT연산자입니다.

조건1의 값을 반전시킵니다. true->false / false->true

제 강좌에서는 보실 일 없을 겁니다.


이상으로 연산자 설명을 마치고 간단한 코딩을 해보겠습니다.



저는 간단하게

받은 메세지가 "안녕하세요" 라는 메세지이면

"안녕하세요!!" 라고 출력시켜보겠습니다.


일단 메인화면에서 [수정] 버튼을 누르셔서 수정화면으로 들어가시고


if(msg=="안녕하세요")    //받은 메세지가 안녕하세요 이면

{    //열고

replier.reply("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라고 출력

}    //닫고


이 소스를 넣고 [저장] 버튼을 눌러서 저장해주세요

그리고 다시 메인화면으로 나오셔서 [리로드]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설정하셨다면


이제 "안녕하세요" 라는 메세지가 들어오면

어플은 "안녕하세요!!" 라고 출력하게 됩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디버깅] 버튼을 클릭하셔서 "안녕하세요" 라는 메세지를 보내보세요


그럼 이번 강좌는 여기에서 마치도록 하고

다음 장에서는 변수와 문자열,숫자열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