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봇 강좌(2) - 두번째 발걸음
안녕하세요 :)
이번 강좌에서는 메신저봇의 버튼들과 response함수의 인자들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전 강좌에서 만들었던 파일 하단을 보시면 여러가지 버튼들이 보이실건데요
이렇게 회전하는것처럼 보이는 버튼은
[리로드]버튼입니다
작성하신 소스파일을 컴파일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펜처럼 생긴 버튼은
소스파일을 [수정]하는 버튼입니다.
이 버튼을 누르신 후 보이는 화면에서 소스파일을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벌레처럼 생긴 버튼은
컴파일된 소스파일에 오류는 없는지 [디버깅]하는 버튼입니다.
컴파일시에는 오류가 나지 않았더라도 실행중 생길 수 있는 오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책의 목차처럼 보이는 버튼은
[로그]를 확인하는 버튼입니다.
어떤 오류가 떴는지, 로그에 기록된것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톰니바퀴처럼 보이는 버튼은
[설정]버튼입니다.
여러가지 설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뭔지 모르겠는 이 버튼은
[스크립트 액티비티]를 확인하실 수 있는 버튼입니다.
제 강좌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메인화면 우측 하단에서 보이는 이 버튼은
새로운 스크립트를 [생성]하실 수 있는 버튼입니다
플로피 디스크처럼 보이는 이 버튼은
소스코드 수정화면 우측 하단에서 보이는
[저장]버튼입니다.
수정하신 소스파일을 저장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버튼을 누르지 않고 나가시게 되면 이전에 저장한 파일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상이 메신저봇의 기본 버튼들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스파일 수정화면에서 제 강좌에서 나오지 않는것을 제거하고
response함수의 인자들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처음 파일을 만들고 수정버튼을 누르시게 되면
아래와 같이 이것저것 작성되어있을텐데요
제 강좌에서 필요없는것들과 주석을 지우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function response(room, msg, sender, isGroupChat, replier, ImageDB, packageName, threadId){
}
이제 response 함수의 인자들을 설명드리자면
room
해당 메세지가 어느 방에서 전송되었는지를 가져옵니다.
msg
어떤 메세지를 받았는지를 가져옵니다.
sender
해당 메세지를 전송한 사람의 닉네임을 가져옵니다.
isGroupChat
room에서 받은 방이 그룹챗인지 아닌지 그 값을 반환합니다.
그룹챗은 true, 1:1대화방은 false값으로 반환됩니다.
replier
답장 메소드입니다.
메세지가 수신되면 그에따른 답장을 보낼 수 있습니다.
보통 replier.reply(room,"응답")으로 사용합니다.
replier.reply("응답")으로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ImageDB
이미지의 Base64인코딩값을 나타냅니다.
packageName
메세지가 전송된 어플의 패키지명을 나타냅니다.
카카오톡은 com.kakao.talk입니다.
threadId
해당 스레드의 Id값을 표시합니다.
다음 장에서는 if문과 if문을 활용한 간단한 코딩을 해보겠습니다.